본문 바로가기

장단기금리차3

[시리즈 25] 금리인상기에는 채권투자가 답?! 채권을 알고보게 될 거라고는 생각못했다. 이것저것 공부하면 한가지에 집중해서 하는 것만 못하다고 생각하기에 채권이랑 선물은 버리려 했지만, 경제는 같이 움직이고, 헷지 해주는 금융상품들이 있다보니 주식을 하면서 채권을 알아보게 되었다.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되면 경기침체가 온다. 이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채권을 모르면 주식을 공부하는 것도 한계가 생김을 깨닫게 되었고, 채권의 기본적인 개념을 공부해 보았다. 1.채권이란 차용증이라고 여기면 쉽다. 정부, 기업, 금융기관이 자금을 조달하려고 발행하는 유가증권인데 그 유가증권을 사고 팔 수 있다. 위의 그림은 채권을 산다는 것이고 아래 그림은 채권을 파는 것이다. 채권을 팔 때의 돈은 원금 + 이자 이다. 2.채권의 구성 채권 = 단위가격 + 상환만기 + 금리 .. 2022. 9. 30.
[시리즈 24] 돈의 속성에 나오는 경제용어 정리집 돈의 속성에 나오는 경제용어를 정리집 90몇 개중에 63개를 모른다. 단어는 들어봤는데 설명을 읽어보니 정확히 모르는 거 같은 것도 같이 정리했다. 내가 모르는 용어다. 하지만 내가 대부분 몰랐으니까 이정도만 다 알아도 엄청 도움될 거다. 시간날 때 틈틈히 읽어보려고 정리했다. 생활화가 최고..!!! 네이버 지식사전의 내용과 담담님의 블로그 내용을 참조로 내가 이해하기 쉽게 재해석해서 정리한 내용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사전 담담님 블로그https://blog.naver.com/dkang12 1.가산금리(bp) 신용도 등 조건에 따라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금리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높으면 가산금리는 올라감.) 2.경기동향지수 경기변화방향만을 파악 기준선 50 ↑ 확장국면 / 50 ↓ 수축국면 /.. 2022. 9. 23.
[시리즈7] 2022년 3월말에 있었던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란 무엇일까? 장단기 금리차는 미래의 경제를 알 수 있는 지표로 많이 이용된다.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데 주로 10년 금리과 2년 금리 비교를 많이 한다. 장기금리(10년) : 오랜기간 빌려주고 받는 이자 단기금리(2년) : 짧은 기가 빌려주고 받는 이자. 장단기금리차 : ex) 10%-5%=5% 기본적으로 장기금리가 더 크거나 같다. 왜냐하면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먼 미래이므로 리스크가 크고,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에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보상받고 싶은 심리가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그 보상에 대한 대가로 이자율을 높여서 이자를 더 많이 받는 것이다. 장단기 금리차는 그래프로 확인을 많이 하는데 이해하기 쉽게 직접 그린 그림으로 설명하겠다. 1.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거라 예상된다면 주식과.. 2022.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