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소득2

[책리뷰] 월급쟁이 부자의 머니파이프라인...3 콘텐츠소득과 사업소득 콘텐츠 소득의 종류에 대표적인 예로는 블로그, 유튜브 등이 있다. 콘텐츠 소득의 핵심은 꾸준함과 90% 경쟁자가 없는 분야를 시도하는 것이다. 본인에게 잘 맞는 방법을 이용하여 소득을 올릴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데 루지님은 블로그를 이용하셨다고 한다. 파워블로거들의 수익을 보면 내 블로그가 보잘 것 없어 보이긴 한다. 나또한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당시 소득을 목적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소득보다는 내가 필요할 때 찾아볼 수 있는 정보 기록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너무 소득에 얽메이면 글을 계속 써야 하는 압박감에 시달리게 되어 좋은 글을 발행할 수 없고, 양질의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몇 달 지나고 나서 블로그의 방향이 정해지게 되니, 꾸준한 블로그 포스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꾸준한 포스팅을 하는 .. 2022. 9. 18.
[책리뷰] 월급쟁이가 부자가 되려면 근로소득부터 알자...2 5가지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다. 1.근로소득(노동소득) : 시간과 노력 소비 2.콘텐츠소득(시스템소득) : 시간과 노력 소비 3.사업소득(시스템소득) : 시간과 노력 소비 4.부동산소득(시스템소득) : 시간과 노력 5.주식배당소득(자본소득) : 시간과 노력 최소 1~4까지의 소득들은 시간과 노력이 소비가 되지만 점점 적게 소비되는 쪽으로 시스템화 시켜야 한다. 마지막 자본소득은 시간과 노동력을 가장 적게 투입할 수 있는 소득으로 배당소득이라고 볼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이 부분을 늘려가는 쪽으로 목적을 잡아야 한다. 월급쟁이 생활을 유지하는 동시에 회사 밖으로 나가기 위한 준비를 지금부터 하지 않으면 매번 쳇바퀴 도는 삶을 살 수 밖에 없다. 지금 다니는 회사에 입사했을 때부터 노후를 걱정하긴 했다... 2022.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