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병 치료약4

인슐린 치료 - 인슐린 펌프 & 연속혈당측정기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경우 1. 제 1형 당뇨병 2. 성인 지연형 자가면역 당뇨병 3. 임신성 당뇨병 생활습관 조절로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인슐린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4. 제2형 당뇨병 적절한 경구혈당강하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실시한다. 대사 이상을 동반하고 고혈당이 심할 경우에는 진단 초기라도 인슐린 치료를 고려한다. 심근경색, 뇌졸중, 급성질환 발병 시, 수술 시에도 실시할 수 있으며, 임신예정이거나 임신한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하고 인슐린으로 치료한다. 인슐린 펌프 인슐린 펌프는 초속효성 인슐린을 소량 지속 주입하거나 다량 주입할 수 있는 작고 프로그램이 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이다. 인슐린 펌프는 끝에 피하에 삽입되는 바늘이 달린.. 2022. 4. 28.
경구용 혈당 강하제 종류 경구용 혈당 강하제 종류 메트포민 작용기전 : 간에서 포도당이 만들어지는 것이 감소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약 복용시간 : 식전, 식후 관계없음 (위장장애 줄이려면 식사와 함께 또는 식사직후 복용) 부작용 : 위장장애 (식욕가퇴, 소화불량, 울렁거림 등) 주의사항 : 조영제 사용하는 CT 검사 시 검사전 48시간, 검사후 48시간 복용 중단 설포닐유레아 작용기전 :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 복용시간 : 식전 복용 부작용 : 저혈당, 체중증가 등 주의사항 : 저혈당 시 용량조절(감량)가능 DPP-4 억제게(다이펩타이드-4 억제제) 작용기전 : 포도당에 의존하여 인슐린분비를 촉진 복용시간 : 식사와 관계없이 일정 시간에 복용 부작용 : 두통, 설사, 체중감소 등 SGLT-2 억제제(소듐.. 2022. 4. 26.
경구 혈당 강하제(2) & 인슐린 주사요법 알파-글루코시다제 제제 소장세포에 있는 알파-글루코시다제라는 소화효소를 억제하는 치료제다. 이 약물을 식전에 복용하면 복합 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고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로 당의 섭취가 많은 환자에게 사용했을 때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소화되지 않은 탄수화물이 소장에 오래 머물러 있기 때문에 속이 더부룩하거나 가스 발생, 복부 팽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게 2~3주 정도 후면 부작용이 사라지고 비만 환자는 체중 감소 효과를 볼 수도 있다. 당이 체내에 빠르게 흡수되면 그만큼 혈당도 빠르게 오르고 인슐린의 분비도 빨라져야 한다. 하지만 소장에서 탄수화물이 좀 더 오래 머물게 되면 혈당이 천천히 올라 고혈당을 방지할 수 있다. 식전에 복용해야 더욱 효과적이지만 식사 .. 2022. 4. 18.
경구 혈당강하제(1) -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경구 혈당강하제의 종류 먹어서 혈당을 조절하는 경구 혈당강하제는 크게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는 인슐린 분비 촉진제와 인슐린의 세포 내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 구분할 수 있다. 또 그 안에서 여러 가지 성분의 약물로 세부 분류할 수 있다.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약물은 개인차가 존재한다.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식사요법과 운동만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환자나 심한 당뇨병 합병증이 없는 환자들이 처방받고, 간이나 신장의 기능 장애를 앓고 있거나 임신부와 수유기의 여성,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인슐린 분비 촉진제 설폰요소제 약물 현재 고혈당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제군으로 베타 세포에 직접 작.. 2022.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