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이란4 당뇨병 판정 기준과 검사 방법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당뇨병을 진단하는 방법 당뇨병이 의심스러워 병원을 찾게 되면 소변 검사와 혈액 검사를 받게 된다. 소변에서 당이 측정되는지, 혈액에서 인슐린의 농도와 혈당 수치는 어떠한지 측정하게 된다. 이 두 가지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고, 이밖에도 당뇨병을 진단하고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당뇨병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무작정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현 상태가 어떤지 감을 잡지 못하는 것보다 당뇨병의 객관적인 판정 기준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오랜 기간 당뇨병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에는 치료에 싫증을 내거나 대단한 병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갑자기 쓰러지거나 못 견딜 정도의 고통이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그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 2022. 4. 8. 당뇨병의 원인-(2) 과식과 폭식, 자극적인 음식을 선호하는 식습관 사회가 발달하고 변하면서 간편하고 자극적이고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게 되었다. ‘웰빙 트렌드’는 한국인의 식습관을 담백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천천히 즐기도록 바꿔놓기는 했지만, 아지도 한국 사람은 뜨겁고, 맵고, 기름진 음직에 열광한다. 특히 동물성 지방과 동물성 단백질의 지나친 섭취가 당뇨병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당뇨병의 원인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데 이 중 잘못된 식습관은 당뇨병 발병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삼겹살, 인스턴트 식품, 맵거나 짠 자극적인 음식을 선호하는 편이다. 바쁜 업무로 인해 한꺼번에 몰아서 폭식을 하거나, 매 끼니마다 과하게 먹고 보는 과식 습관.. 2022. 4. 7. 당뇨병의 원인-(1)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 저하 당뇨병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막연하게 유전과 비만을 당뇨병의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원인을 파고들자면 그중 하나는 췌장의 기능 이상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몸에서 췌장은 소화 효소를 합성하고 분비하는 기능을 하며 혈당 조절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인슐린 분비에 관여한다. 당뇨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적절하게 분비되고 정상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 만약 인슐린이 적절하게 분비되지 못하거나 분비되어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혈당 조절에 실패하게 되고 결국 당뇨병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췌장에는 약 100만 개의 췌도가 존재하며 각각의 췌도는 알파세포, 베타세포, 델타세포 등으.. 2022. 4. 6. 당뇨병이란 무엇일까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스스로 당뇨병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당뇨병의 원인이 무엇인지 어떤 증상들이 있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고, 무엇때문에 혈당 조절에 실패하는지를 알게 된다면 스스로 당뇨병을 이겨낼 수 있는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당장 눈에 띄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결코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는 안 되는 질환이 당뇨병이다. 20~79세 성인 중 약 10%가 앓고 있어 국민병이라고 불리는 것이 당뇨병이다. 그러나 당뇨병에 걸렸다고 해서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당뇨병은 아는 만큼 예방도 치료도 가능한 병이다. 포도당을 사용하지 못하는 병 명석한 두뇌, 훌륭한 신체 조건을 가졌다고 해도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에너지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2022. 4.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