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이퍼링3

[시리즈6] 우리나라 주식의 미래 – 바닥일까? 더 추락할까? 21년 8월부터 우리나라 주식은 끝도 없이 추락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반도체 산업이 잘 나갈꺼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미국에 공장도 지었다. 근데 왜 자꾸 떨어지는 걸까? 오늘은 그 원인 중 하나인 테이퍼링이 우리나라 주식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테이퍼링이란 양적완화를 중단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었다. https://sunfish-gaebokchi.tistory.com/27 테이퍼링이 실시된 후 우리나라 주식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테이퍼링이 실시되면 달러의 가치가 올라간다. 원화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이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우리나라 입장에서 환율이 올라가니 원화를 달러로 바꾼다. 예를 들면 1달러 = 1000원 -> 1달러=1200 이 되니까 달러로 바꾸는 것이다. 그래서 외국인들이.. 2022. 5. 16.
[시리즈 4] 테이퍼링(tapering)은 이미 시작되었다. 2021년 8월에 주식시장이 들썩였다. 미국에서 테이퍼링(tapering)을 하겠다는 말이 나왔기 때문인데 지난 포스팅에서 양적완화로 인해 푼 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테이퍼링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 테이퍼링(tapering)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엔 미국으로 가서 2008년도 때의 일을 알아보자. 2008년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졌다. 그로인해 미국은 경제 불황을 겪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미국 정부는 금리를 5%에서 제로금리(0%)로 내려버렸다. 하지만 그 당시 경제 타격이 너무 커서 이것만으로는 극복을 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추가적으로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양적완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니 미국 정부에서는 2013년도에 테이퍼링(tapering)을 실시할지도 모.. 2022. 5. 9.
[시리즈 3] 양적 완화 정책은 코로나 때 주식을 천정으로 끌어올렸다. 2022년 5월 4일 FOMC 회의가 열렸다. 0.5bp의 금리 인상은 모두가 예상한 결과였다. 그와 더불어 새롭게 QT(양적 긴축)을 6월부터 실시할 지 모른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다. 긴축정책, 금리인상. 요즘 가장 화두시 되고 있는 문제이다. 그렇다면 긴축정책과 금리인상을 하게된 이유는 무엇일까? 오늘은 긴축정책이 왜 필요하고, 금리인상을 왜 하게 되었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2020년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라는 팬데믹 현상이 발생했다. 대혼란 속에서 경제가 어려워지자 미국 정부에서는 시중에 돈을 풀기 시작했다.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찍어 발행하기 시작한 것이다. 소비를 일으켜 죽어가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실시한 정책이 양적완화이다. 양적완화가 2020년에 처음 있었던 일은 아니.. 2022.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