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실제 경제서를 읽어 보았다.
원래는 금리의 역습이라는 책을 찾고 있었는데 회사 도서관에는 아직 없었다.
근데 같은 저자가 쓴 더 최근에 발간된 나의 첫 금리공부라는 책은 있었고, 아쉬운대로 그것부터 읽어보기로 했다.

금리과 연관된 경제 분야의 파트가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경제학 내용이라 그런지 진도가 잘 나가지 않았다. 헷갈리는 내용이 많았고, 아무 생각없이 읽으면 뒷 내용이 하나도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아서 중간에 그만읽을까 라는 생각도 잠깐 했었다.
그래도 일단은 정리해 보면서라도 읽어보자 라며 완독을 하기는 했는데...
머리에 남아 있는 것은 금리가 낮으면 집을 사야겠다 라는 것이였다.
경제학 내용을 풀어쓴 책이라서 전문서적을 공부하는 느낌이라 감명깊은 구절같은 거는 솔직히 없었다.
하지만 알아두면 나중에 도움이 될 것 같은 금리의 흐름이나 경제상황들은 있어서 그것에 관해 서술을 해볼까 한다.
경기호황 ->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많다. (기대수익률이 높아진다.)
=> 금리는 오른다.(신용이 나쁠수록, 거래기간이 길수록)
경기불황 -> 돈은 빌리려는 사람이 적다.(기대수익률이 낮아진다.)
=> 금리는 떨어진다.(신용이 좋을수록, 거래기간이 짧을 수록)
금리 = 현재 경제 상황이 반영된 이자율 + 대출자의 신용위험 + 기간에 따른 기회비용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이 반영된 금리
명목금리 =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
채권 : 국채, 은행채, 회사채
나라에서 채권을 매입하면 시중에 돈이 많아진다. -> 사람들이 돈을 안 빌리려고 한다.(금리가 낮아지고, 대출을 유도하게 되고, 물가상승을 유도한다.)
중앙은행에서 경제 살리는 방법
- 0% 기준금리, 저금리 기조를 장기간 유지하겠다는 약속
- 양적완화
- 자국통화 평가절하를 유도 -> 수출증가 -> 무역수지 흑자 -> 수출기업이익증가 -> 통화가치하락이 멈춤 -> 해외에서 자본유입 -> 통화가치 상승으로 전환 => 경기회복
물가상승의 대응책
- 유가상승의 대응책 : 전세계의 기준금리 상승
- 수요측면 물가 상승의 대응책 : 기준금리 상승
실질금리 하락시
- 내 자산가치 방어 투자에 고민
- 채권에 이미 많이 투자중이다.(연금, 보험 등)
- 위험자산, 고령화에 대한 부담이 없는 나라에도 투자 비중을 높여라.
유상증자 이후 대부분 기회가 있다. 무조건 악재는 아니다.
채권발행 이후 상승하거나 하락하거나 확실한 방향을 잡는다.
환율이 급등 => 그 뒤 반드시 큰 기회가 온다.
(경제 회복과 성장을 자극하는 도구)
경제위기시
원화 약세/엔화 강세
(안전자산으로 분류)
경제 진짜 위기시 채권시장이 붕괴한다.
(신용경색, 대출감소, 디레버리지, 부채축소)
- 대형금융기관 파산 -> 빌린 돈 대부분 상환 X
- 대출회수, 필요한 자금 강제 상환, 대출이자 상승, 취약계층 등장
- 유동성 축소, 대출감소
- 소비심리 위축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어서 급한대로 이 정도는 인지하고 다른 공부들을 추가적으로 더 하고자 한다.
정서적인 깨달음을 주거나 하는 책은 아니다.
진짜 금리에 관해 공부하는 책이다.
경제가 처음이라면 경제 공부를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몇 번은 읽어봐야 될 것 같다.
'북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리뷰] 앞으로 10년, 돈의 배반이 시작된다...2012년 로버트 기요사키가 말하는 금융교육.. (1) (0) | 2022.08.14 |
---|---|
[책리뷰] 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꿈꾼다를 읽어보다. (0) | 2022.08.07 |
[책리뷰]경매 초보라면 "싱글맘 부동산 경매로 홀로서기" 를 먼저 읽어라! (0) | 2022.07.24 |
[책리뷰]아들 셋 엄마의 돈되는 독서를 읽었다면 이것만은 기억하자!! (0) | 2022.07.11 |
[책리뷰] 북테크의 시작! 블로그의 신을 읽고 블로그에 대한 마음 다지기... (0) | 2022.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