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부를 하다보면 건물의 건폐율과 용적률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볼 수 있다.
나는 건폐율과 용적률은 건물 지을 때 허가가 나는 범위 정도로만 알고 있어서 투자시에 생각해봐야 되는 부분일 줄은 몰랐다..
하지만 투자시에도 중요하지만 실거주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오늘은 포스팅해보려 한다.

건폐율과 용적률은 주거단지의 쾌적성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이다.
1) 건폐율 : 수평적
건축면적
-------------- X 100
대지면적
위에서 내려다봤을 때 대지대비 건물의 면적의 비율이다.
Ex) 500m2 대지 위에 250m2의 건물이 지어진다면 건폐율은 50%, 마당&녹지공간 50%
건폐율을 정하는 이유는 건축물 주위 최소공간을 확보하고 일광, 채광, 통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용적률 : 입체적
연면적
-------------- X 100
대지면적
건출물 연면적은 건출물 각 층 바닥면적 합계 대비 대지면적이다.
여기서 연면적에 지하층과 주차용 바닥면적은 포함되지 않는다.
Ex) 500m2의 대지에 바닥면적이 250m2의 2층짜리 건물이 지어진다면 용적률을 100%이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출묵을 높게 지을 수 있다.
아파트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빽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개발, 재건축의 경우 용적률이 높으면 분양물량이 많아지므로 투자수익 좋다.
건폐율과 용적률 확인방법
이미 짓기 전의 건물은 국토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며, 시,군,구의 조례로 결정한다.
이미 지어진 건물의 경우 건축물대장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단독주택이나 다가구 주택은 일반건축물대장을,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책, 아파트같이 구분 소유권행사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경우 집합건출물대장을 확인해보면 된다.
민원24이서 건축물대장 등초본발급(열람)신청을 통해 확인 가능한다.
부동산 가격과의 상관관계
건폐율이 높다면 건물을 넓게 지을 수 있다.
용적률이 높다면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있다.
즉,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다면
토자의 가격은 비싸진다. 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주나 토지소유주(+)에게 유리하다. 주택의 입장에서는 아파트 사이가 좁다는 뜻이다. 밀도가 높으면 일조, 통풍, 채광에 불리하므로 주택가격에 부정적(-)요소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서 투자해야 한다.
'경제를 알아야 기회를 잡는다(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즈 21] 대출받을 때 도움되는 꿀팁!! (전환대출. 보금자리대출. 디딤돌대출) (2) | 2022.09.02 |
---|---|
[시리즈 20] 입주권과 분양권의 차이(첫 부동산 매매시도 인생의 쓴 맛) (4) | 2022.08.19 |
[시리즈18] LTV, DSR, DTI, 생애최초의 바뀐 대출 규제 22년도 7월 최신버전!! (0) | 2022.08.05 |
[시리즈 17]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과세대상 및 과세방법 (1) | 2022.07.29 |
[시리즈16] 헷갈리는 주식용어 PER / PBR / PSR / PDR 이거 모르면 주식하지마!! (3) | 2022.07.22 |
댓글